23년 1월 첫주 일정
1월 4일, FOMC의 22년 12월 Committee Meeting에 대한 의사록 공개
장기목표는 여전하다;
- real GDP growth 1.8%
- Unemployment rate 4.0%
- PCE Inflation 2.0%
- Federal funds rate 2.5%
현안인 PCE Inflation은 지난 9월 전망보다 조금 악화되었다.
25년이 되어야 목표치인 2.0%에 근접할 수 있다면, 긴축 기조는 시장이 생각하는 것보다 상당히 길어질 수 있다.
여하튼 기준금리는 24년에서야 인하시킬 전망이다.
이런 기조에서 경제성장과 고용은 희생시킬 수 있다는 입장.
23년 성장율은 9월 전망 1.2%에서 0.5%로 급격히 낮추고, 실업율도 4.4%에서 4.6%로 상승
23년 경착륙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으로 봐야하지 않을까
23년 최종금리는 5.25% 정도
앞으로 약 1% 정도를 더 올릴 수 있다.
또 다시 시장은 연준의 각오를 조롱한다.
22년에는 너무 전격적으로 올려서 정신을 못차렸지만,
금년에는 올려봤자 1%, 연준이 시장을 누르기에는 가진 카드가 거의 없다.
조만간 고금리가 고용과 소비를 끌어내릴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문제는 그러한 지표가 발표되었을 때 연준의 입장.
연준의 긴축정책이 효과를 발휘한다면서 긴축 입장을 견지한다면 시장은 금리를 올리고 위험자산을 줄일 것이고,
연준이 경로를 수정한다면 금리는 급락하고 시장은 축제분위기 일 것임.
그리고 바뀐 경로를 수정하기는 어려울 것
[Case 1] 소비와 고용이 악화되고, 연준이 부양책으로 전환
[Case 2] 침체는 오지않고, 연준의 경로대로 진행
[Case 3] 소비와 고용이 악화되나, 연준은 경로대로 진행
[Case 4] 침체는 오지않고,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음
가장 안정적인 시나리오는 [Case 3], 침체가 오고 인플레이션이 잡히고 금리가 하락하는 시나리오다.
시장이 원하는 [Case 1]이 온다면, 일단 축제를 즐기자. 빠져나갈 시점은 그 때 고민하면 됨
침체가 오지 않는 경우는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한 영역.
그런데 가능할 것 같기도 하다.
포트를 유지하며 추이를 지켜보는 수 밖에...
1월 6일, BLS는 22년 12월 Employment Situation 발표
실업율은 3.5%로 여전히 하단을 유지하고 있으며, 비농업 고용자는 최고치를 찍고 있음.
근로시간은 줄고 시간당 임금은 지속 오르고 있음
그러나, 임금상승율이 하락하였다고 당일 미국 증시는 폭등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49678
결론은, 아직 미국의 고용은 견조함.
'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지표 공부 (0) | 2023.01.09 |
---|---|
수출입 (0) | 2023.01.09 |
효성티엔씨 (0) | 2023.01.06 |
미래에셋 맵스미국 부동산투자신탁 9-2호 분배금 지급 (0) | 2022.12.31 |
신한알파리츠 분배금 (0) | 2022.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