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에 대해서
금년 말에 투자자들이 느낄 정도의 경기 침체는 피하기 어려울 것.
작년의 강했던 경기침체 우려 정도나 사전적 의미의 경기침체 (NBER, 전분기 대비 경제성장 축소가 2분기 이상 지속)까지는 가지 않더라도.
금리 대해서
년내 인하는 없을 것.
Baby Step 2-3회 인상 후 년내 계속 유지할 것으로 예상.
- Headline은 떨어졌으나 Core는 횡보 중
2. 공급 부문에서 애로가 해소될 것인가라는 의문
공급망 압력이 아직 지난 20-30년 평균 수준보다 높은 수준
3. 공급 압력이 줄어들고 인플레이션 악성화 우려
- 현재 수요 side에서 인플레이션 견인 (한국 5% 중 공급 애로가 1% 정도만 기여)
- 기존 상품가격 인상에서 서비스 물가 상승 압력으로 변화
FED가 가장 우려하며 모니터링하는 것은 서비스 물가의 고착화
- 서비스 물가는 지속성이 강함. 수요/공급 요소에 쉽게 반응하지 않지만 한번 오르면 잘 내려오지 않음
- 서비스 물가가 임금과 계속 교차하며 오르는 wage-price spiral 상황이 가장 우려되는 현상
3. 재고가 줄어든 상황이라 공급망 충격이 다시 오면 공급 side의 인플레이션 재개 우려
4. 작년은 고달러로 수입물가가 어느 정도 방어되었지만, 올해는 달러가 더 낮은 수준 유지 예상
중립금리 2% 목표에 대하여
이론적 근거는 없고 실증분석에서 나온 수치
2008년 금융위에 따른 QE 이후 물가 상승이 없었음 - 필립스 곡선이 변한 것이 아닌가?
목표 금리를 올려야 한다
- 구조적적으로 고인플레이션 사회가 올 것으로 과도한 긴축으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
: 국제분업의 약화 - 미중 갈등, 중국의 노동력 한계
-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통화정책의 여유를 가지기 위해서는 금리 buffer 필요
목표금리를 올린다면 고금리가 일상인 경제 환
당장 결정되지는 않겠지만, 미중 갈등이 심화된다면 목표 금리 상승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중국의 식어가는 성장엔진에 대하여
중국도 한국과 같은 성장 경로를 따라 갈 것임
양적 성장의 한계 - 질적 성장, 생산성 향상으로 전환해야 할 시점이나 호의적인 환경은 아님
- 중국 인구구조의 악
- 미국의 기술 제약에서 자체적으로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
세계 경제의 질서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지속 성장을 하기 어려울 것임
- 규제나 불투명성을 제거하지 않는다면
- 중국의 자본통제를 제거한다면 위안화는 어떻게 될 것인가?
미중 갈등
- 중국의 성장에는 제약 조건
- 미국 및 여타국가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 - 경제안보 vs 고비용사회
한국에 대한 둠 시나리오에 대하여
개혁의 대상으로써 정부의 역할을 고민해야 할 때가 됐어요
- 천문학적 예산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 않는 저출산 정책
- 40년 넘게 성과가 나오지 않은 중소기업 정책
장기적으로 끌고 갈수 있는 수요 기반
- 한국 수요의 제한 - 수출시장 확장 전략 유
- 세계 경제 질서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대응
환율에 대하여
실질실효환율
단기적으로는 절하 가능성
- 부채가 많아진 상황에서 고금리 지속 - 주요 신흥국에서 경제 위기 가능성
장기적으로는 절상
- 환율은 근본적으로 성장율 차이로 결정
국제경제 리스크에 대하여
1. 중국 경제
- 중국 변이 Pendemic
2. 숨어있는 부채 - FX Swap, FX Forward, Currency Swap에 물려있는 부채 (BIS)
- 최근 급증된 Off-balance debt, 금융위기 상황 발생시 폭발
- 유럽 비은행권에서 아시아시장 대상 달러캐리에 문제 발생
'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질실효환율 (0) | 2023.03.29 |
---|---|
세계 공급망 압력 지수 (0) | 2023.03.29 |
Time to Get Fit (0) | 2023.03.27 |
Tesla Investor Day 2023 (0) | 2023.03.26 |
Credit Suisse AT1 Write Down Event (1) | 2023.03.25 |